맨위로가기

베스토 슬라이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스토 슬라이퍼는 미국의 천문학자이다. 그는 분광학적 방법을 통해 행성의 자전 주기와 대기 성분을 연구했으며, 1926년부터 1952년까지 로웰 천문대 대장을 역임했다. 1912년 외부 나선 은하의 적색 편이 현상을 최초로 발견했으며, 이는 우주 팽창 연구에 기여했다. 슬라이퍼는 1919년 Lalande Prize, 1932년 헨리 드레이퍼 메달과 영국 왕립 천문학회 골드 메달, 1935년 브루스 메달을 수상했다. 소행성 1766 슬라이퍼와 달과 화성의 슬라이퍼 구덩이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디애나주 출신 - 제임스 딘
    제임스 딘은 1931년생으로 《에덴의 동쪽》, 《이유 없는 반항》, 《자이언트》에 출연하여 1950년대 미국 청춘을 대표하는 배우였으며, 자동차 사고로 사망한 후에도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인디애나주 출신 - 맷 보글
    맷 보글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를 획득하고, 대학 수영팀 우승을 이끌었으며, 코치로 활동하다가 국제 수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20세기 천문학자 - 스티븐 호킹
    스티븐 호킹은 루게릭병을 앓으면서도 특이점 정리, 호킹 복사 등의 획기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시간의 역사》와 같은 대중 과학 서적을 통해 과학 대중화에 기여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이다.
  • 20세기 천문학자 - 솔 펄머터
    솔 펄머터는 초신성 우주론 프로젝트를 이끌며 우주의 가속 팽창을 발견하여 201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며, Ia형 초신성을 이용한 연구로 우주의 가속 팽창 증거를 제시하고 암흑 에너지 존재를 시사하는 데 기여했다.
  • 미국의 천문학자 - 조지 스무트
    조지 스무트는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자 우주론학자로, COBE 위성 프로젝트를 통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비등방성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빅뱅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한 공로로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 미국의 천문학자 - 애니 점프 캐넌
    애니 점프 캐넌은 미국의 천문학자로, 하버드 천문대에서 별의 스펙트럼을 분류하고 하버드 분류 체계 개발에 기여했으며, 헨리 드레이퍼 목록 완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수많은 변광성과 신성을 발견하여 천문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겼다.
베스토 슬라이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베스토 슬라이퍼
베스토 슬라이퍼
이름베스토 멜빈 슬라이퍼
원어 이름Vesto Melvin Slipher
출생일1875년 11월 11일
출생지인디애나주 멀베리
사망일1969년 11월 8일
사망지애리조나주 플래그스태프
국적미국
직업천문학자
고용주로웰 천문대
친척얼 슬라이퍼 (동생)
알려진 업적은하의 적색 편이 발견

2. 생애

인디애나주 멀베리에서 태어났다.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배운 후, 로웰 천문대에서 일했다. 1926년부터 1952년까지 천문대장을 역임했다. 분광학적 방법으로 행성의 자전 주기와 행성 대기의 성분을 연구했다.

1912년 파장이 적색 쪽으로 이동하는 외부 나선 은하의 스펙트럼선을 발견했다. 우주 팽창에 따른 적색 편이의 발견자는 에드윈 허블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지만, 슬라이퍼의 발견은 허블보다 앞선다. 마찬가지로 리크 천문대・알레게니 천문대의 제임스 킬러나 리크 천문대의 윌리엄 캠벨도 허블의 발견 전에 적색 편이를 관측했다. 허블과 밀턴 휴메이슨의 공적은 은하까지의 거리와 후퇴 속도가 상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한 점에 있다.

3. 주요 업적

인디애나주 멀베리에서 태어나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공부한 후, 로웰 천문대에서 일했다. 1926년부터 1952년까지 천문대장을 역임했다. 분광학적 방법으로 행성의 자전 주기와 행성 대기의 성분을 연구했다.

3. 1. 외부 은하의 적색편이 발견

1912년 파장이 적색 쪽으로 이동하는 외부 나선 은하의 스펙트럼선을 발견했다. 우주 팽창에 따른 적색 편이의 발견자는 에드윈 허블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지만, 슬라이퍼의 발견은 허블보다 앞선다. 마찬가지로 리크 천문대・알레게니 천문대의 제임스 킬러나 리크 천문대의 윌리엄 캠벨도 허블의 발견 전에 적색 편이를 관측했다. 허블과 밀턴 휴메이슨의 공적은 은하까지의 거리와 후퇴 속도가 상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한 점에 있다.

3. 2. 행성 연구

분광학적 방법으로 행성의 자전 주기와 행성 대기의 성분을 연구했다. 1912년 파장이 적색 쪽으로 이동하는 외부 나선 은하의 스펙트럼선을 발견했다.[1] 우주 팽창에 따른 적색 편이의 발견자는 에드윈 허블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지만, 슬라이퍼의 발견은 허블보다 앞선다.[1] 마찬가지로 리크 천문대・알레게니 천문대의 제임스 킬러나 리크 천문대의 윌리엄 캠벨도 허블의 발견 전에 적색 편이를 관측했다.[1] 휴메이슨과 허블의 공적은 은하까지의 거리와 후퇴 속도가 상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한 점에 있다.[1]

4. 수상

연도수상 내역
1919년랄랑드 상(Lalande Prize)[2]
1919년파리 과학 아카데미 금메달(French Academy of Sciences)[2]
1932년국립 과학 아카데미의 헨리 드레이퍼 메달(Henry Draper Medal)[2][6]
1932년영국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Gold Medal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2][7]
1935년브루스 메달(Bruce Medal)[8]
소행성 1766 슬라이퍼와 달과 화성에 있는 슬라이퍼 구덩이들은 얼 슬라이퍼와 베스토 슬라이퍼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5. 명명

소행성 1766 슬라이퍼와 달과 화성에 있는 슬라이퍼 구덩이들은 얼 슬라이퍼와 베스토 슬라이퍼 형제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

참조

[1] 웹사이트 "(1766) Slipher = 1953 UR = 1962 RF = 1980 RH5" https://minorplanetc[...] MPC 2021-08-14
[2] 뉴스 Nesto (sic) Slipher, 93, Astronomer, Dies The New York Times 1969-11-09
[3] 웹사이트 http://www.albany.ed[...]
[4] 간행물 'The radial velocity of the Andromeda Nebula' http://adsabs.harvar[...]
[5] 문서 Slipher (1917): Proc. Amer. Phil. Soc., 56, 403.
[6] 웹인용 Henry Draper Medal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1-02-24
[7] 웹인용 Winners of the Gold Medal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http://www.ras.org.u[...] Royal Astronomical Society 2011-02-24
[8] 웹인용 Past Winners of the Catherine Wolfe Bruce Gold Medal http://astrosociety.[...]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2011-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